Table of contents
"니모닉 문구를 꼭 잘 보관하세요."
암호화폐 지갑을 만들 때 항상 듣는 말입니다.
그런데 막상 어디에 어떻게 보관해야 할지, 정확히 감이 안 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종이에 적어놓긴 했는데 불안하고,
컴퓨터에 저장하려니 보안이 걱정되고…
혹시 그냥 바탕화면 메모장에 저장해두려는 생각, 하고 있지는 않나요?
오늘은 니모닉을 진짜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과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위험한 방법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봅니다.
1. 니모닉 안전하게 보관하는 방법
(1) 엑셀 파일에 저장하고 비밀번호 걸기
니모닉 문구를 엑셀 파일에 저장한 뒤, 파일 자체에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 엑셀 파일 생성 → 니모닉 입력 → 파일 암호화 설정
- 비밀번호는 복잡하고, 추측하기 어렵게 설정합니다.
이렇게 하면 컴퓨터에 파일이 남더라도,
비밀번호 없이는 접근할 수 없어 한 번 더 보호할 수 있습니다.
(2) 구글 드라이브에 비공개 저장하기
구글 드라이브 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비공개 폴더에 업로드하는 방법입니다.
- 업로드 시 폴더 공유 설정을 ‘본인만 보기’로 제한합니다.
- 구글 계정 자체에도 이중 인증(2FA) 을 반드시 설정해야 합니다.
이 방법은 기기 분실이나 고장 시에도 어디서든 복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절대 하지 말아야 할 행동
아무리 간편해 보여도, 다음과 같은 방법은 절대 추천하지 않습니다.
- 윈도우 바탕화면에 메모장으로 저장하기
→ 특히 Windows 11부터는 기본 설정으로 바탕화면 파일이 자동으로 OneDrive에 업로드됩니다.
즉, 본인도 모르게 클라우드에 노출될 위험이 있습니다. - 캡처해서 갤러리에 저장하기
→ 스마트폰이 해킹되거나, 클라우드 사진 백업을 통해 유출될 수 있습니다. - 이메일에 첨부파일로 저장하기
→ 이메일 해킹 시 니모닉까지 함께 털릴 수 있습니다. - SNS나 메신저로 보내놓기
→ 대화창이 해킹되거나 노출되면 복구 키가 그대로 유출될 수 있습니다.
니모닉은 곧 내 지갑과 자산의 열쇠입니다.
오프라인과 온라인 모두 신중하게 다루어야 하고, 편리함보다는 철저한 보안을 우선시해야 합니다.
엑셀 파일+비밀번호, 클라우드 비공개 저장+2FA 조합이면 일상에서 비교적 안전하게 니모닉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이야기 > 블록체인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벌려면 텔레그램 말고 Verychat? 걷기만 해도 리워드 받는 채팅 앱 소개 (0) | 2025.05.01 |
---|---|
Openledger 소개: 컴퓨터나 핸드폰으로 간단히 채굴하기 (0) | 2025.05.01 |
X(트위터)에 글만 써도 코인이 생긴다? CLIZA의 Base 체인 자동 생성 기능 (0) | 2025.04.20 |
Hunters On-Chain 아이템, Sequence 지갑에서 Immutable Passport로 옮기는 방법 (0) | 2025.04.13 |
파이코인(Pi Network) 판매 – 잊고 있던 코인으로 60만 원 번 후기 (0) | 2025.03.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