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image
내가 USDT(테더) 대신 USDC를 활용하는 이유
1. 테더(USDT)에 대한 불안감테더(USDT)는 시가총액 기준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스테이블코인이지만, 그동안 투명성 문제와 여러 논란이 있었다. 특히, 테더의 준비금이 완전히 공개되지 않았다는 점과 과거 재정 문제로 벌금을 낸 사례가 있어 일부 투자자들은 신뢰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2. 중국과의 연관성 논란테더가 중국과 연관되어 있다는 이야기가 많지만, 직접적인 증거는 부족하다. 다만, 과거 테더의 준비금 중 상당 부분이 중국계 기업이나 기관을 통해 운영되었다는 의혹이 있었고, 이는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 중 하나다. 특히 중국 정부의 자본 통제 정책을 고려할 때, 테더가 위험 요소를 안고 있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 3. USDC의 투명성과 신뢰성USDC는 미국의 서클(Circle)과 코인베이스..
2025.02.08
no image
World Liberty Financial(WLFI)의 투자 목록과 평가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연관된 암호화폐 프로젝트인 **World Liberty Financial(WLFI)**가 주목받고 있다. WLFI는 최근 다양한 블록체인 자산에 투자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Arkham Intelligence 대시보드를 통해 WLFI의 투자 내역을 확인할 수 있는데, 어떤 자산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 의미는 무엇인지 살펴보자. WLFI의 투자 내역 확인 방법WLFI의 투자 내역을 직접 확인하려면 Arkham Intelligence에서 해당 엔터티를 조회하면 된다.WLFI 엔터티 대시보드Arkham Intelligence 사이트에서 **‘worldlibertyfi’**를 검색하면 해당 지갑 주소와 보유 자산을 볼 수 있다. WLFI의 주요 투자 목록W..
2025.02.02
no image
바이낸스 Passkey 및 인증 단계 초기화
인증 단계 초기화 방법 - 바이낸스 계정에 로그인합니다.- 보안 설정 페이지로 이동하여 2단계 인증 옵션을 확인합니다.- Passkey 초기화를 진행합니다. 기존의 인증 방법을 비활성화하고 새로운 Passkey 설정을 진행합니다.참고 : 위 화면에서는 이미 Passkey 초기화를 Authenicator App올 설정하였음 이와 같은 방식으로 이메일, 핸드폰 등 모든 보안 초기화가 가능합니다.
2025.02.02
no image
LUNC(루나 클래식) 스테이킹 재위임
LUNC는 PoS 방식으로 스테이킹을 다른 이에게 위임할 수 있다. 그런데 어느 날부터 보상을 출금하는데 너무 많은 수수료가 책정되기 시작했다. 원인은 내가 무분별하게 여러 노드에 스테이킹을 했기 때문이다. 현재 노드 자체의 수수료가 너무 많다거나,여러 노드에 스테이킹을 한 사람은 재위임이 필요하다.  재위임할 노드 선택하기위와 같은 화면에서 Delegations를 클릭한다.  위의 예제는 Orion, Stakely.io, SafePoint 총 3개의 노드에 스테이킹되어 있는 모습이다. 난 Orion 노드에 모두 옮길 생각이기 때문에 Orion을 선택했다.   재위임 하기우측 상단에 Redelegate를 클릭한다.   위 예제는 Stakely.io -> Orion으로 재위임하는 모습이다. 처음 시도하면 ..
2025.01.05
no image
바이낸스 KYC 등록된 이름 확인
바이낸스에서 KYC 이름 변경을 여러 번 요청해도 위와 같이 실패할 수 있다. 경우마다 다르지만, 나의 경우에는 이름이 잘못되어서 수정한 후, 문제를 해결했다.  P2P 정보 활용 먼저 바이낸스 상단 메뉴에서 Trade->P2P 메뉴로 이동한다.   P2P User Center 링크를 클릭한다.     화면을 내리다보면, Add a payment method 버튼이 보일텐데, 이것을 클릭한다. 이후에 Bank Transfer 버튼을 클릭한다.    자신의 이름을 확인한다.
2024.10.01
no image
클레이튼 계열 코인 시세 보는 사이트(KSP, KLEVA, KOKOA 등)
클레이튼 계열의 코인들은 대부분 한국에서 개발된 코인이 많다. 흔히, 김치코인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아직 수준이 높지 않아서 그런지 한국 거래소에 상장된 코인이 그리 많지는 않다. 이런 코인들의 시세를 보기 위해서는 몇 가지 사이트를 추천한다.   allbit allbit은 클레이튼 계열의 차트를 보기 위해 가장 최적화되어있는 것 같다. UI는 여느 거래소 못지 않게 되어있다. 또한, 가격 급상승, 많이 내린, 거래 대금 높은, 시가 총액 높은, 최신 토큰 등 카테고리에 따른 순위를 볼 수도 있다.   Dexta 올빗이 나오기 전에는 Dexta를 이용해서 클레이튼 계열의 코인의 시세를 확인했었다. UI는 allbit에 비해 심플하고, 기능적인 측면에서는 부족한 느낌이 있다. 하지만 속도가 빠르고 모바일에서 ..
2024.10.01
no image
텔레그램의 단짝 코인, TON
개요Telegram에서 2018년에 창립된 TON(The Open Network)은 고속 거래 처리 속도로 암호화폐 커뮤니티에서 유명한 PoS(Proof-of-Stake) 기반 암호화폐다. 목적TON코인은 빠른 거래 처리 속도, 안전한 결제 서비스, 타입의 애플리케이션과 국제 송금, 소액 결제, 개인 간 거래 등 다양한 목적을 위해 개발되었다. TON은 멀티레벨 구조로, 샤딩(Sharding) 원리를 활용하여 다중 서브넷을 가진 여러 개의 블록체인을 형성하여 거래 프로세스를 가속화하고 안정성을 제공한다. 발행량TON코인의 발행량은 총 5억 개이며, 현재 유통 중인 TON코인은 3억 개다. 관련 프로젝트TON 코인과 관련된 프로젝트로는 Getgems, StonFI, Ton Whales 등이 있다.  TON..
2024.10.01
no image
가격을 결정하는 요소인 해시레이트(Hashrate)
비트코인의 가격을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것이 해시레이트다. 다들 말은 많이 들어봤을텐데, 이게 왜 중요하고 가격과 영향은 어떤 식으로 있는지 보자. 해시레이트란해시레이트(Hashrate)는 블록체인 기술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그래픽 카드 또는 전용 ASIC 칩과 같은 장치로 해시 함수를 실행하여 채굴 작업을 수행하는 속도를 나타낸다. 해시 함수는 무작위 입력 값을 고정된 길이의 출력 값으로 변환하는 함수로,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의 블록체인에서는 이 함수를 실행하여 블록의 유효성을 증명하고 보안을 제공합니다. 해시레이트는 일반적으로 초당 해시 수로 측정되며, 해시 속도가 높을수록 채굴 작업을 더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해시레이트는 일반적으로 해시당 해시 수로 표현되며, 해시당 초당 수는 해시레이트..
2024.09.22
no image
PoW방식의 Conflux(CFX) 코인
개요Conflux 코인은 중국의 블록체인 프로젝트로, Tree-Graph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높은 확장성과 보안성을 제공한다고 한다. Conflux 네트워크는 초당 3천개 이상의 트랜잭션을 처리할 수 있으며, 매우 낮은 수수료와 지연 시간을 유지한다고 한다. Conflux 코인의 심볼은 CFX다. Conflux의 Tree-Graph 합의 알고리즘은 블록을 나무(tree)와 그래프(graph)로 구분하여 병렬 처리하고, 최종적으로 하나의 연속된 체인(chain)을 형성하는 방식이다.이를 통해 높은 TPS와 낮은 지연 시간을 달성하면서도 PoW 증명 방식을 유지하여 보안과 탈중앙화를 보장한다. 발행량Conflux 발행량은 정확하게 알 수 없으며, 현재 유통 공급량은 약 26억 5천만개다. (참조 : 코인마..
2024.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