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현재는 상상하기 어렵지만, 역사적으로 기축통화는 늘 변해왔다.
그리고 지금은 기축통화가 변화될 시점에 놓여있는지도 모른다.
시기 | 주요 기축통화 | 비고 |
BC 5세기 | 그리스 은화 드라크마 | 로마 데나리우스, 비잔틴 솔리두스, 이슬람 디나르, 프랑스 프랑 등 존재 |
13세기 | 베네치아 두카트 | 피렌체 플로린과 함께 유럽과 아랍 세계 사이에서 금 기반의 통화로 사용 |
16세기 | 스페인 실버 | 유럽, 아시아 및 아메리카에서 인정받은 첫 번째 세계적인 기축통화 |
17세기 | 네덜란드 길더 | 유럽과 네덜란드 식민지 제국 지역에서 사용됨 |
19세기 | 영국의 파운드 스털링 | 계의 대부분에서 주요한 기축통화로 사용됨 |
20세기 | 미국 달러 | 세계적인 기축통화로 주도권을 확보하게 됨 매년 약 1,000억 달러 이상의 이익을 얻고 있음 현재의 기축통화는 미국 달러와 유로가 주로 사용됨 |
'이야기 > 금융 및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자재 가격을 알아보는 사이트와 LME (0) | 2024.10.01 |
---|---|
삼성증권 HTS로 해외주식 양도세 문서 받기 (0) | 2024.10.01 |
돈의 역사 (0) | 2024.10.01 |
FUD(Fear, Uncertainty, and Doubt) 란? (0) | 2024.09.22 |
국가채무와 국가부채 (0) | 2024.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