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글은 '23/11에 작성된 글입니다.

 

최근 몇 년 동안 여러 인터넷 뱅킹 회사들이 급성장하고 있다.

 

초기에는 단순한 예금 및 입출금만 지원했으나, 점자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처럼 기존의 시중은행에서 제공하던 서비스도 확대 제공중이다.

 

이번에 케이뱅크의 아파트담보대출(주택담보대출)의 조건이 좋아보여서, 이 상품으로 갈아타는 과정중에 일반인들이 알면 좋은 내용들을 요약해보았다.

 

 

케이뱅크는 1금융권인가?

여러 자료 조사에 따르면, 현재 1금융권 은행은 20여개가 있고, 케이뱅크 또한 1금융권으로 분류되고 있다.

 

 

 

케이뱅크로 대출 갈아타기(대환)를 위해 필요한 작업들은?

먼저, 자신이 원래 이용하던 대출은행에 대환이 가능한지 알아봐야한다.

 

이와 더불어 대환할 시, 수수료(중도상환수수료)가 드는지도 확인해야 한다.

 

이후에 케이뱅크 어플에서 대출을 신청하여, 금리 및 대출가능 금액을 확인하면 된다.

 

최근 비대면 주담대는 모두 비슷할 것 같은데, 이 상품의 경우 대환은 케이뱅크에서 직접하기 때문에 은행업무로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적은 편이다.

 

실제로 대출을 실행하고자 할 때, 등기권리증에 대한 내용도 요구받기 때문에, 이 문서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상황에 따라 매매계약서도 필요하다고 하는 글을 보았는데, 나의 경우 매매가 아닌 대출을 갈아타는 것이라 그런지 요구되지 않았던 것 같다.

 

* 특히 특약이 걸려있는 사람도 있을 수 있으니, 이 부분을 꼭 확인하기 바란다.

 

 

 

기존 담보대출 금액이 아담대(대환)의 승익금액보다 큰 경우는?

이에 대한 차액은 준비해야 한다.

 

 

 

금리는 대략 어느 정도인가?

2023년 11월 초 기준으로 4.5%대인데, 이는 상황반식, 대출기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대출이 실행되는 당일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순 있다.

 

즉, 갈아타려고 하기 이전에 집 값의 변동성, 금리의 변동성 등을 고려하여 대출하는 것을 추천한다.

 

 

 

상환방식은 어떤 것들이 있나?

원금균등과 원리금균등방식이 있다.

 

 

 

대출기간은 어떻게 설정할 수 있나?

10~40년 범위 내 5년 단위로 가능하다고 설명되어 있다.

 

그런데, 내가 선택할 때는 1년 단위도 설정이 되었던 것 같은데, 어쨋든 선택의 폭은 넓은 편이다.

 

다만, 기간이 길어질수록 이자율은 상승할 수 있다.

 

 

 

중도상환해약금(수수료) 정책은?

기본적으로 3년의 수수료도 발생한다. 그리고 이에 대한 공식은 다음과 같다.

 

  • 중도상환해약금: 중도상환금액 x 해약금요율(1.40%) x (3년 - 대출실행 후 경과기간) ÷ 3년

그리고 매년 대출을 실행했을 때 금액의 10%는 면제가 된다.

 

예를 들어, 1억을 빌리면 매년 1,000만원은 수수료가 없다.

 

이 1년의 기준은 1월 1일이 아닌 대출 실행일자가 기준이다.

 

 

 

기타 부가 비용은 있나?

아마 이 부분도 어떤 대출이나 다 비슷할텐데, 인지세 및 등기 관련 비용과 같이 추가 발생비용이 있다.

 

따라서, 넉넉하게 돈을 챙겨두는 것이 좋다.

 

 

 

대출 관련 문의사항은 어디로 전화하나?

24시간 365일: 1522-1000